티스토리 뷰
북아프리카 모로코에 규모 6.8 강진이 일어난 가운데 이웃국가 리비아에선 지난 11일(현지시간) 폭풍우로 댐이 붕괴되면서 최악의 홍수가 발생했습니다. 실종자가 1만여명에 이르는 등 이번 물난리로 수천명이 사망했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독재자 무아마르 카다피가 2011년 사망한 이후 사실상 무정부 상태에 빠진 리비아는 제대로 된 구조 활동을 펼치지 못한 채 국제사회 지원만 바라보는 신세입니다.
<AP>, <로이터> 통신을 보면 11일(현지시각) 리비아 동부를 통제하는 정권의 오사마 하마드 총리는 현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홍수 피해가 극심한 북동부 데르나 지역에서 2000명이 숨지고 수천 명이 실종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데르나의 "모든 가구가 주민들과 함께 물에 휩쓸려 사라졌다"며 이곳을 재난 지역으로 선포했다고 말했습니다.
아래 홍수 피해를 당한 리비아에 도움을 주는 성금이나 기부를 할수있는 사이트를 링크했으니 참고하세요....
동부에 주둔하는 리비아 국민군(LNA) 대변인 아흐메드 미스마리는 댐 두 곳이 무너져 "주민들이 바다로 떠내려갔다"며 5000~6000명 가량이 실종된 것으로 추정했다. 동부 정권의 잇삼 아부 제리바 내무장관도 데르나에서 5천 명 이상이 실종되고 상당수가 지중해로 떠내려 갔다며 "모든 지역 및 국제 단체의 도움"을 촉구했습니다.
리비아에선 지난 2011년 아랍의 봄 혁명 여파로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이 붕괴한 뒤 국제사회의 지지를 받는 서부 트리폴리 통합정부(GNU)와 리비아 국민군이 장악한 동부 정권이 대립하는 무정부 상태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통합 정부 설립에 실패하며 도로 등 기반 시설 정비 및 건축 규제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AP통신에 따르면 타메르 라마단 국제적십자연맹 리비아 특사는 이번 홍수로 인해 1만여명이 실종됐다고 12일 밝혔습니다. 그는 “리비아 홍수로 인한 사망자 수가 엄청나며, 앞으로 며칠 안에 수천여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리비아 당국은 가장 피해가 컸던 북동부 데르나에서만 2300명 이상이 사망하고 5000명 이상이 실종된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리비아 동부 정부의 보건부 장관인 오스만 압둘잘릴은 “재앙적 상황”이라며 “병원은 이미 시신으로 가득 찼고, 많은 시신이 도시 곳곳에 방치되거나 바다로 떠내려가고 있다. 구조대가 닿지 못한 지역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행정부 한 관리는 로이터통신에 지금까지 1000구 이상의 시신이 수습됐다고 말했습니다.
리비아를 휩쓴 홍수 및 폭풍은 토네이도를 동반한 ‘대니얼’입니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대니얼은 전날 리비아에 상륙하기 전 그리스와 튀르키예, 불가리아 등을 관통하며 12명의 사상자를 낸 뒤 리비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인 벵가지를 비롯해 데르나, 샤하트, 베이다 등 북동부 지역을 강타했습니다.
특히 마을이 통째로 휩쓸린 데르나의 피해가 극심합니다. 데르나 인근 댐 2곳이 무너지면서 도시에 엄청난 양의 물이 들이닥쳤고, 대피하지 못한 주민들은 그대로 떠내려갔습니다.
리비아 동부 의회가 지명한 오사마 하마드 총리는 “실종자 상당수가 상류 댐 두 개가 터지면서 떠내려간 것으로 추정된다”며 “데르나의 폐허는 정부의 수습 능력을 훨씬 뛰어넘는 수준”이라고 말했습니다.
압둘잘릴 장관도 “국제적인 개입이 필요하다”며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이외에 벵가지에선 최소 150명이 숨졌고, 베이다에서도 최소 50명의 사망 소식이 보고됐다. CNN은 “정확한 사망자 수를 확인할 수 없는 지경”이라며 “주요 도시 전기와 통신이 대부분 끊겨 피해 규모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문제는 구조 활동에 나서야 할 리비아 당국이 기능을 상실했다는 점입니다. 리비아는 2011년 ‘아랍의 봄’ 민주화 시위로 카다피를 축출한 뒤 지금까지 사실상 무정부 상태에 빠져 있습니다. 유엔과 서방이 인정한 과도정부 리비아통합정부(GNU)는 서부를, 군벌 리비아국민군(LNA)은 동부를 나눠 통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피해가 큰 데르나는 오랜 기간 이슬람국가(IS) 지배하에 있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통치엔 전혀 관심이 없는 두 정부 정치 시스템의 문제가 고스란히 드러났다”고 지적했습니다.
리비아의 역사 와 위치
1947년 2월 10일 독립 선포
1951년 12월 24일 리비아 왕국 수립
1969년 9월 1일 무아마르 카다피의 쿠데타
1977년 3월 2일 리비아 아랍 사회주의 인민 자마히리야 수립
2011년 2월 17일 리비아 민주화 운동
북아프리카에 위치하며 지중해에 접해 있는 아랍 국가입니다. 대중동권역으로도 분류됩니다. 영어로는 Libya입니다.
수도는 트리폴리(Tripoli)입니다. 터키와 레바논 등 중동 여러 지역에도 같은 이름의 도시가 있기 때문에 타라불루스 알 가리브 즉 서쪽의 트리폴리로도 불립니다. 또 다른 주요 도시로는 벵가지가 있습니다.
1951년 이탈리아의 식민통치에서 독립한 직후인 1950, 60년대까지는 현재의 사우디아라비아나 요르단, 카타르, 쿠웨이트, 모로코 같이 왕이 통치하던 군주국이었으나, 1969년에 왕정이 군부 쿠데타로 붕괴된 이후에는 카다피의 독재 정권이 42년간 통치했었습니다.
2011년 카다피 정권이 붕괴된 이후에 현재는 과도정부 하의 공화국이 성립되었습니다. 이들 과도정부는 이슬람 율법인 샤리아를 기본으로 한 신헌법을 채택하고 이슬람을 국교로 선포했다. 다만 성향은 온건한 편입니다.
인구는 2021년 기준 약 695만 명입니다. 국토면적은 약 176만㎢로, 세계에서 17번째로 면적이 넓고 아프리카에서는 4번째로 큰 중간 크기의 대국입니다. 유럽에는 러시아를 제외하고 리비아보다 큰 나라가 없습니다.
아프리카에는 세계 순위권에 속하는 국가들이 있어서 조금 밀리지만 그래도 아프리카에서도 영토만으로 5번째 상위권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이 사하라 사막이기 때문에 실제 개발 가능한 면적은 좁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공용어는 아랍어입니다. 리비아에서 쓰이는 아랍어도 동부는 마슈리끄 아랍어, 서부는 마그레브 아랍어라는 아랍어 방언에 속해 있습니다. 교육받은 사람들은 영어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의외로 리비아 내 교육쪽에서 진짜 영향력 있는 언어는 프랑스어입니다.
이상으로 리비아 국민들이 힘들지만 이 재난을 잘 견뎌서 헤쳐 나가기를 바랍니다...신의 가호가 있기를 바랍니다......